정보마당

한부모 가족 아동양육비 지원에 대한 안내

정보 요원 2023. 9. 19. 13:36
반응형

한부모 가족 아동양육

한부모 가족이라는 것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아이를 키워나가는 가정입니다. 그렇기에 한부모 가족에게는 다양한 어려움이 따르곤 합니다. 이런 가정들을 위해 국가와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는데요. 저소득 한부모가족을 대상으로 한 아동양육비, 아동교육지원비, 생활보조금 등의 지원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 지원들은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가정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것입니다.


한부모 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대상 및 복지급여 지급 조건


1. 한부모 가족 아동양육비 지원대상

한부모 가족 아동양육 지원의 대상이 되려면 다음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한부모가족증명서 발급대상

  • 사별, 이혼 등의 이유로 한 부모와 함께 생활하며, 세대주인 모 또는 부가 만 18세 미만(취학 시 만 22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는 경우.
  • 부모로부터 부양을 받지 못하는 만 18세 미만(취학 시 만 22세 미만)의 손자녀를 (외)조부 또는 (외)조모가 양육하는 조손가족도 해당됩니다.
  • 해당 가정의 가구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60% 이하인 경우.

2. 한부모 가족 복지급여 지급대상

한부모 가족 복지급여를 받기 위한 대상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대주인 모 또는 부가 만 18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는 경우.
  • 부모로부터 부양을 받지 못하는 만 18세 미만의 손자녀를 (외)조부 또는 (외)조모가 양육하는 조손가족 포함.
  • 해당 가정의 가구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60% 이하인 경우.

지원대상과 복지급여 지급 조건을 숙지하고, 해당 조건에 맞는 가정이라면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한부모 가족 지원 지급기준 안내(2023년)

한부모 가족의 아동양육비 및 복지급여 지원, 그리고 한부모가족증명서 발급의 기준이 되는 중위소득에 따른 2023년 지급 기준을 다음과 같이 안내드립니다.

가구규모 2023년 중위소득 아동양육비 등 복지급여 지원 및 한부모가족증명서 발급 (기준중위소득 60%)
2인 가구 3,456,155원 2,073,693원
3인 가구 4,434,816원 2,660,890원
4인 가구 5,400,964원 3,240,578원
5인 가구 6,330,688원 3,798,413원
6인 가구 7,227,981원 4,336,789원

이표를 참고하여 본인의 가구 규모와 소득을 비교해보시고,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및 복지급여 지원이나 한부모가족증명서 발급을 받기 위한 기준에 해당하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한부모 가족 지원 내용 안내


한부모 가족들이 받을 수 있는 주요 지원 내용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지원을 받기 위해선 소득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지원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1. 한부모가족증명서 발급

  • 대상: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인 한부모 가족
  • 내용: 한부모가족증명서는 한부모 가족임을 증명하는 공식 서류로, 이를 통해 다양한 지원 및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증명서는 관련 기관 및 단체에서 요구할 경우 제출하여야 합니다.

2. 복지급여 지급

  • 대상: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인 한부모 가족
  • 내용: 한부모 가족의 생활안정 및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금전적 지원입니다. 아동양육비, 교육비, 의료비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신청 및 자세한 내용은 관련 기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원 내용에 대한 자세한 정보나 신청 방법은 해당 지자체나 관련 기관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부모 가족이라면 이러한 지원을 활용하여 가정의 생활안정과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해 보시기 바랍니다.

3. 한부모 가족 복지급여 지급기준 (2023년 1월부터)

한부모 가족들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복지급여의 지급 기준을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원종류 지원대상 지원금액
아동양육비 •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만 18세 미만 자녀를 둔 가족 월 20만원
추가 아동양육비 •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조손 및 만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 가족의 만 5세 이하 아동 자녀 1인당 월 5만원
•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만 25세~34세 청년 한부모 가족의 만 5세 이하 아동 자녀 1인당 월 10만원
•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만 25세이상 34세이하 청년 한부모 가족의 만 6세18세 아동 자녀 1인당 월 5만원
아동교육 지원비 (학용품비) •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중학생․고등학생 자녀를 둔 가족 자녀 1인당 연 9.3만원
생계비 (생활보조금) •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입소,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인 가족 가구당 월 5만원

위의 복지급여 지급기준 표를 통해 본인의 가정이 해당 지원의 대상이 되는지, 그리고 어떤 금액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필요한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해당 조건을 충족하고 지원을 신청하셔야 합니다.

4. 한부모 가족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가구

다양한 복지 프로그램이 있지만, 중복 지원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가구는 한부모 가족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확인하여 자신의 가정 상황에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판단해보시기 바랍니다.

  1. 아동양육비에서 제외되는 가구
    • 아동복지법에 의한 가정위탁양육보조금을 받는 경우
  2. 아동교육지원비(학용품비)에서 제외되는 가구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교육급여를 받는 경우
    •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교육비 지원을 받는 경우
    • 긴급복지지원법에 의한 교육지원을 받는 경우
  3. 생활보조금에서 제외되는 가구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생계급여를 받는 경우
    • 긴급복지지원법에 의한 생계지원을 받는 경우
    • 아동복지법에 의한 가정위탁양육보조금을 받는 경우

본인의 가정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지원받을 수 있는 서비스와 제외되는 서비스를 명확히 구분하여 필요한 지원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한부모 가족 지원 신청절차 및 방법


1. 신청절차

초기상담 및 서비스 신청 (읍/면/동, 복지로 누리집)

            ▼

대상자 통합조사 및 확정
(시/군/구청)

            ▼

서비스 지원
(대상자)
  • 복지로 누리집 (www.bokjiro.go.kr), 주민등록 소재지 관할 읍ㆍ면ㆍ동 행정복지센터 / 주민센터를 통해 온ㆍ오프라인 연중 신청 가능 → 시ㆍ군ㆍ구청에서 지원 여부 결정 및 지원
  • 신청서식, 구비서류 등 자세한 사항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에 문의

복지로 한부모 가족 지원가능 여부 모의계산하기

 

tbu/app/twat/twatb/twatbz/TWAT53017E

 

www.bokjiro.go.kr

복지로 한부모 가족 아동양육비 신청가기

 

tbu/app/twat/twata/twataa/TWAT52011M

 

www.bokjiro.go.kr


한부모 가족 지원 필요서류


사회복지서비스 및 급여제공 신청서

지원을 위한 기본적인 신청서로, 개인 정보, 가구 구성원 정보, 지원을 신청하는 서비스 내용 등이 포함됩니다.

소득·재산 확인서류(임대차 계약서 등)

가구의 소득과 재산을 확인하기 위한 서류입니다.

  • 예) 최근 3개월간의 급여 명세서, 사업자등록증, 소득세과세표준증명원 등
  • 임대차 계약서: 집을 임대받고 있는 경우, 월 임대료와 계약 기간 등을 확인하기 위한 서류입니다.

금융정보 등 제공동의서

금융관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동의서로, 신청자의 금융거래 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동의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금까지 한부모 가족 지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가정을 꾸려나가는 한부모 가족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잘못된 정보나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항상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관련 기관의 공식 홈페이지나 안내를 참고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한부모 가족을 위한 복지서비스 안내

 

http://www.mogef.go.kr/singleparent/main.do

 

www.mogef.go.kr

많은 분들이 이 글을 통해 필요한 지원을 받아 가정의 안정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관심과 성원에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더 좋은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뵐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